예금금리 기준금리보다 낮아져…시중은행, 2%대로 낮춘다

  • 등록 2025.02.24 16:56:06
  • 조회수 42
크게보기

한국디지털경제신문 우혜진 기자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시중 금리가 하락하자, 5대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도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 1년 만기 기준으로 3%대 금리는 점차 자취를 감추고, 2%대 금리가 자리 잡는 추세다. 현재 연 3.00%인 기준금리보다 앞서, 은행들의 예금 금리가 더 낮아지면서 대출 금리와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KB국민·신한은행, 금리 0.05%p 인하... 시장금리 하락 반영

 

2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이날부터 'KB스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1년 만기, 우대금리 포함)를 기존 연 3.00%에서 2.95%로 0.05%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이 상품의 금리가 2%대였던 마지막 시점은 2022년 7월로, 약 2년 7개월 만에 다시 2%대로 내려왔다.

 

신한은행도 지난 20일, '쏠편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를 연 3.00%에서 2.95%로 조정했다. 이는 2022년 6월 이후 2년 8개월 만에 2%대 금리로 복귀한 것이다. 은행들은 시장금리 하락과 자금 조달 비용 감소를 반영해 예금 금리를 낮춘다고 설명했다.

 

다른 은행들도 줄줄이 인하... 예대금리차 확대 우려

 

SC제일은행은 지난 17일부터 네 가지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를 최대 0.50%포인트 낮췄고, 하나은행도 14일에 12~60개월 만기 정기예금 3종의 기본 금리를 0.20%포인트씩 인하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2.95~3.30%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25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면, 나머지 은행들도 빠르면 이번 주나 다음 주 중에 금리를 2%대로 낮출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출 금리보다 예금 금리가 더 빠르게 낮아지면서, 은행들의 예대금리차가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작년 12월 예대금리차는 1.43%포인트로, 4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기준금리 추가 인하 시 이러한 추세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가 현실화되면, 3%대 정기예금 상품은 점차 사라지고 대부분 2%대에 안착할 가능성이 높다"며 "예금 금리가 빠르게 내려가면 대출 금리와의 격차가 더 커질 수 있어, 은행들의 수익성 논란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우혜진 기자 wh5222@naver.com
Copyright @한국디지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 385, 8층 804-27호(마곡동, 우성에스비타워) 등록번호: 서울,아55586 | 등록일 : 2024년 8월 13일 | 발행인 : 박재형 | 편집인 : 김공탁 | 전화번호 : 070-4045-5491 Copyright @한국디지털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