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경제신문 김공탁 기자 | 부동산 조각투자 플랫폼을 운영하는 루센트블록은 금융위원회가 선정하는 핀테크 우수기업 'K-Fintech 30'(K-핀테크)에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루센트블록은 토큰증권 플랫폼 업계에서 유일하게 K-핀테크에 포함됐다. K-핀테크는 금융위가 금융혁신을 주도할 우수기업 30개사를 발굴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선정된 기업은 정책금융 지원한도와 금리조건 우대, 금융회사 서비스 연계지원 등 스케일업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받게 된다. 루센트블록은 금융위 혁신금융서비스인 부동산 토큰증권 플랫폼 '소유'를 운영하며 다양한 상업용 부동산을 유동화했고, 국내 업계 처음으로 두 자릿수 공모에 진입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보였다. 자체 분산원장 기술, 고성능 매칭엔진 거래 플랫폼, 금융결제원 오픈뱅킹 시스템 도입 등 이용자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인 것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허세영 루센트블록 대표는 "토큰증권 플랫폼 업계에서 유일하게 K-핀테크에 선정되며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다"며 "책임감을 가지고 투자자에게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한 투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이 비밀번호 없이 손쉽게 로그인·인증이 가능한 패스키 인증시스템을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으로 도입을 원하는 기업에 제공한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패스키는 비밀번호 대신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 및 로그인을 가능케 하는 글로벌 표준(W3C, Fido Alliance) 기술로, 개인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외울 필요 없이 이용하는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인증방식(생체 인증, 핀 번호 등)을 통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하다. 구글·애플·MS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패스키 인증을 자사 OS의 기본 인증 수단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다양한 국내외 기업들도 자사 서비스에 패스키를 도입하는 등 비밀번호가 필요 없는 패스워드리스(Passwordless) 시대가 빠르게 도래하고 있다. SKT는 지난 2023년 패스키 인증시스템을 직접 개발해 본인확인 서비스 앱인 PASS(패스)에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른 기업들이 쉽고 빠르게 패스키를 적용할 수 있도록 자사의 패스키 인증시스템을 SaaS형태로 준비해왔다. 특히 SKT는 글로벌 FIDO(Fast IDentity Online) 인